About Recent News Exhibitions Our Activities Artist Free Board
 
Freeboard
작성자 갈무리
작성일 2021-06-02 (수) 10:59
ㆍ추천: 0  ㆍ조회: 596      
IP: 119.xxx.224
새 책! 『포스트휴머니즘의 쟁점들』 강우성·김성호·박인찬·유선무·이동신·










글쓴이
강우성
서울대 영문과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뉴욕주립대학교(버팔로) 영문과에서 19세기 미국문학과 데리다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성대학교에서 가르치다가 2008년부터 서울대학교 영문과와 비교문학과에서 미국문학, 영화, 비평이론을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 『불안은 우리를 삶으로 이끈다 : 프로이트 세미나』, 『미술은 철학의 눈이다』(공저), Translated Poe(공저), 역서로 『미국, 변화인가 몰락인가』(공역), 『이론 이후 삶』(공역), 『어리석음』, 『팬데믹 패닉』, 『천하대혼돈』 등이 있다.
 
김성호
서울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안과밖』 편집주간과 영미문학연구회 대표를 역임했고 동인지 『크리티카』의 발간에 참여했다. 영문학과 한국문학 외에 맑스주의와 들뢰즈 비평이론, 스피노자와 정서·정동론에 관심을 가지고 글을 써왔다. 저서로 『다시 소설이론을 읽는다 : 세계의 소설론과 미학의 쟁점들』(공저), 『소설을 생각한다』(공저), 『부커상과 영소설의 자취 50년』(공저) 외, 역서로 슬라보예 지젝, 『처음에는 비극으로, 다음에는 희극으로 : 세계금융위기와 자본주의』, 조너선 크레리, 『24/7 잠의 종말』, 데이비드 하비, 『자본주의와 경제적 이성의 광기』 등이 있다.
 
박인찬
숙명여자대학교 영문학부 교수. 미국문학과 SF를 주로 가르치며, 현대영미소설 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숙명인문학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소설의 죽음 이후 : 최근미국소설론』, 역서로 토머스 핀천, 『블리딩엣지』, 『바인랜드』, 마거릿 버트하임 『공간의 역사』 등이 있다.
 
유선무
서울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영문학 학사, 석사 학위를 받고, 미국 인디아나 대학에서 문학 박사, 문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아주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영국 낭만주의 연구와 문화학, 비평 이론에 관련한 다수의 논문을 출판하였다. 현재 문학 비평의 정동적 전환에 관련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이동신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현대미국소설과 포스트휴머니즘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A Genealogy of Cyborgothic : Aesthetics and Ethics in the Age of Posthumanism, 『관계와 경계 : 코로나시대의 인간과 동물』(공저), 역서로 『갈라테아 2.2』 등이 있다.
 
정희원
서울시립대 도시인문학연구소 교수. 『안과밖』 편집위원을 역임했고, 현재 영미문학연구회에서 발간하는 『영미문학연구』 편집장으로 재직 중이다. 영미문학에서 출발해서 도시문화와 도시인문학에 관심을 갖고 공부하고 있다. 저서로 『영미소설과 도시인문학』, 『18세기 도시』(공저), 『18세기의 방』(공저) 등이 있다.
 
황정아
서울대에서 영어영문학을 전공하고 동대학원에서 D. H. 로런스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문학평론가로서 현대 영국소설과 한국소설 및 비평이론에 관한 글을 쓰고 있다. 한림대 한림과학원 HK교수로 재직하며 동아시아 개념사 연구에도 참여하고 있다. 저서로 『개념비평의 인문학』, 『다시 소설이론을 읽는다』(편저), 『소설을 생각한다』(공저), 『트랜스내셔널 인문학으로의 초대』(공저), 『부커상과 영소설의 자취 50년』(공저), 역서로 『단일한 근대성』, 『아메리카의 망명자』, 『왜 마르크스가 옳았는가』 『도둑맞은 세계화』, 『이런 사랑』, 『컬러 오브 워터』, 『내게 진실의 전부를 주지 마세요』, 『쿠바의 헤밍웨이』, 『패니와 애니』(공역), 『역사를 읽는 방법』(공역), 『종속국가 일본』(공역) 등이 있다.

 

구입처
 
온라인서점 / 전국대형서점  
알라딘  교보문고  YES24  인터파크  영풍문고  반디앤루니스  북스리브로(오프라인)
 
지역서점  
[서울]  고려대구내서점  그날이오면  풀무질  더북소사이어티  레드북스  산책자  
[광주]  책과생활  
[부산]  부산도서  영광도서  
[부천]  경인문고  
[제주]  제주풀무질
 
메일링 신청 〉〉 http://bit.ly/17Vi6Wi

 

  0
3500
번호     글 제 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409 [영화공간주안] 제47회 시네마토크 <좀비크러쉬: 헤이리> 영화공간주안 2021-07-09 563
408 새 책! 『미지의 마르크스를 향하여 : 『자본』 1861~63년 초고 해.. 갈무리 2021-07-08 576
407 새 책! 『포스트휴머니즘의 쟁점들』 강우성·김성호·박인찬·.. 갈무리 2021-06-02 596
406 [봉산문화회관] 2021 기억공작소 - 정종미展 봉산문화회관 2021-05-13 606
405 [봉산문화회관] 유리상자-아트스타2022 전시공모 봉산문화회관 2021-05-07 581
404 새 책! 『브뤼노 라투르 : 정치적인 것을 다시 회집하기』 그레.. 갈무리 2021-05-02 846
403 [봉산문화회관] David Mrugala-비분리의 대화展 봉산문화회관 2021-04-22 600
402 [영화공간주안] 제6회 인생영화 <더 파더> 진행 영화공간주안 2021-04-17 584
401 [영화공간주안] 제46회 시네마토크 <당신의 사월> 진행 영화공간주안 2021-04-17 567
400 [봉산문화회관] 2021년 전시실 대관 신청접수 안내 봉산문화회관 2021-04-09 629
399 새 책! 『근현대 프랑스철학의 뿌리들 ― 지성, 의지, 생명, 지.. 갈무리 2021-04-03 602
398 [영화공간주안] 영사매니저(기간제-계약직) 채용 공고 영화공간주안 2021-04-03 582
397 [영화공간주안] 제45회 시네마토크 <인천스텔라> 영화공간주안 2021-04-03 619
396 [봉산문화회관] 2021년 상반기 6월 전시실 수시대관 신청접수 안.. 봉산문화회관 2021-03-29 570
395 [봉산문화회관] 2021 GAP展 봉산문화회관 2021-03-15 627
394 초대! 『방법으로서의 경계』 저자 산드로 메자드라, 브렛 닐슨.. 갈무리 2021-03-14 600
1,,,11121314151617181920,,,37
(48927)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길 43 | TEL 051-724-5201 | mail:openspacebae@hanmail.net
Alternative space_ Openspace Bae, 43 Donggwang-gil, Jung-gu, Busan, Korea | Tel. +82-51-724-5201
(c)2006 SPACEBAE. ALL RIGHTS RESERVED.
산복도로1번지프로젝트 | 안雁창窓고庫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