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Recent News Exhibitions Our Activities Artist Free Board
 
Exhibition
Recent exhibition
Upcoming exhibition
Past exhibition
Past Exhibition
참여작가 chan pak kin Brandon/ Lochikit/Gum cheng
전시기간 2018.06.22(Fri)-07.23(Mon)
전시정보 3인전
 
2018AIR open to you ( Beyond Revolution from the periphery)
 
전시명: Beyond Revolution from the periphery
관람시간:2018.06.22(Fri)-07.23(Fri)
관람시간:11:00-19:00 매주 일요일 및 공휴일은 쉽니다.(단, 사전문의시 개방 가능합니다.)
Artist: Gum cheng,Lochikit, chan pak Brandon 
curator: Clara cheung
critic: nayeon lee(chief editor of seaweed)
eunyoung chae(director of space imsi)
작가와의 대화:2018.06.22(Fri) pm:6:00부터
전시공간: 오픈스페이스 배 전시장 


이번 전시는 매년 진행해 온 open to you “"cross & connect“의  첫 번째 공식 행사로서 홍콩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는 3명의(gum, Brandon, Lochikit) 작가들을 초청하여 한달 간의 행사가 진행된다. 매년 오픈스페이스 배(이하 배)는 새로이 시도하는 “비물리적 레지던시”라는 방식으로 10여년동안 배를 거쳐간 홍콩의 예술가들 중 선별하여 그간의 자국 내에서의 활동들을 공유화는 방식이다 2018년에는 “홍콩”을 주빈으로 초대 되었으며 <Art Together>의 Clara Cheung디렉터와 협업으로 진행된다. 이들 세 작가는 예술의 기능이 사회적, 정치적으로 홍콩의 현실에 액티비즘적 실천을 구현하는 작가들이다. 아카이브 방식으로 전시가 구현되며 지역 대학에서 토크도 동반될 것이다.

Beyond Revolution from the periphery
주변으로부터 일어나 혁명을 넘어서

이번 전시회의 제목이 제시하는 혁명을 능가하는 다시 말해 넘어서는 엄청나게 힘든 과업이다. 결국 도시에 사는 우리들에게 혁명 필연적으로 실패를 함축한 단어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혁명을 넘어서야 한단 말인가? 신기루들로 가득 있으며 상상력에 사색을 위한 공간을 허락하는 예술 세계에서는 넘어섬 의미하는 바를 생각해 있을 것이다. 정치적 열정에 의해 영향 받은 예술가들에게 그리고 예술을 세계를 바꿀 있는 수단으로 생각하는 예술가들에게 창조는 무력해 보이고 심지어 현실의 정치투쟁과 비교될 헛된 것처럼 보일 것이다. 물론 이런 무력감은 일의 가치에서 어떤 것도 없애지 못하고, 예술가들이 (적어도 잠시) 예술이 창조한 것에 무관심한 세상에 예술의 윤리적 의무를 다하지 못한 것에 대해 느끼는 낙담만큼 실망스러운 것이다. 아마도 예술가들 가장 이성적인 예술가들조차 다정한 감수성을 지니고 있을 것이다. 무방비 상태로 빈곤한 예술가들과 일반 대중은 유머와 적의 조롱의 대상들을 떠안은 그저 광대를 연기하고 있을 뿐이다이번 전시회는 혁명의 넘어섬에 대해 세심히 준비하고, 전시의 주제를 넘어섬의 주변부와 하층류로 삼았다. 이번 전시에 참여한 세 명의 지역 작가들은 우리가 사회에서 하위 정치적인 작은 혁명을 촉진시키기 위해 예술을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의 문제와 우리가 어떻게 혁명적 방식으로 창작을 할 수 있을 것인가의 문제를 탐구한다. 이것은 우리의 다음과 같은 믿음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그 믿음이란 만약 우리가 혁명을 점점 더 멀리 넘어서게 되면 우리가 가장 관심을 두어야 할 점은 우리 투쟁의 지속 가능성에 관한 것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로치킷(Lo Chi Kit) 정치 참정권의 박탈에 관한 의식을 키우게 되면서 예술을 향한 불신을 키우게 되었다. 자기 파괴적이며 혼란스런 예술 세계를 직면하면서 분출된 그의 투쟁과 집요함이 그의 작업에 반영되어 있다. 그가 다른 사람들에게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죽음 이후 부활의 가능성에 대한 개인적 전형과 강렬함이다.



사회 참여적 예술에 대한 찬박킨(Brandon Chan) 사고는 주변 이웃들 내에서 사고 자체를 고려해 보는 것이다. 이것이 영향을 미치고 싶어하는 것은 대중의 열정이 아닌 모든 사람들의 지성과 감수성이다. 그는 관람객의 사고를 미로 같은 네트워크에 걸려들게 함으로써 다차원적 구조의 네트워크에서 소외된 존재들을 함께 엮으려는 것이다. 


쳉이만 (Gum Cheng) 이번 전시회의 큐레이터이기도 하다. 그는 전체적 관점에서 사물을 보는 것에 익숙하다. 그는 창조의 과정을 통해 문제를 확인하고 조명하는데 노력을 기울이며, 침묵된 외침이 다른 사람들의 반감과 함께 울려 퍼질 있다는 희망 속에 예술을 분노와 좌절을 위한 카타르시스적 매개체로 이용한다. 참으로, 홍콩에 살든 한국에 살든 예술가를 직업으로 삼는 것은 자체로 일종의 혁명적 실천이며 사회에 맞서는 투쟁의 길로 들어섬이다. 

Beyond Revolution from the Periphery



To exceed, to 'go beyond revolution' in the way the title of the exhibition suggests is an incredibly daunting task. After all, for so many of us in this city, 'revolution' necessarily connotes failure. How, then, are we to go beyond it? In an art world populated by mirages, where the imagination is given room to speculate, it might perhaps be possible to think about what this 'beyond' might mean. For artists engaged in art informed by political passions, for artists who regard art as a means by which the world might be changed, creation seems powerless, even futile when compared to actual political struggle.


This sense of powerlessness, of course, takes nothing away from the value of the work, as despondent as the artist feels for falling short of her ethical obligation to a world indifferent, for the time being at least, to what she creates. Perhaps even the most rational of artists harbor tender sensibilities. Unarmed and impoverished, the artist, like the public of which he is a part, has nothing but the resources of humor, of embittered mockery, playing the clown or the jester.



This exhibition elaborates on the 'beyond' of revolution, taking the margins and the undercurrent of this beyond as its thematic focus. Here, three local artists attempt to explore how we might create in a 'revolutionary' fashion, as well as how we might employ art to catalyze infra-political micro-revolutions inside the social field. This is all informed by the belief that if we are to go 'beyond' revolution, further and further beyond, our foremost concern should be with the sustainability of our struggle.



Lock Lo, through engaging with his deep sense of political disenfranchisement, has come to develop a sense of distrust towards art, and his sense of struggle and persistence in the face of a self-destructive, disorienting art world is reflected in his work. It is this personal exemplarity and intensity, his conviction about the possibility of rebirth after death that he hopes to communicate to others.


Brandon Chan's idea of socially participatory art situates itself inside neighborhoods. What it seeks to affect is not the passions of the populace, but the intellect and sensibility of each and every body. Through ensnaring thought in a labyrinthine web, he seeks to bind isolated bodies in networks of poly-dimensional construction.

Gum Cheng, who is also the curator for the current exhibition, is accustomed to regarding things from the perspective of totality. He endeavors, through the process of creation, to identify and illuminate problems, using art as a cathartic conduit for rage and frustration, in the hope that these muted screams might resonate with the disaffection of others. In truth, whether one lives in Hong Kong or Korea, to adopt the vocation of being an artist is in itself a kind of revolutionary practice, an assumption of lifelong struggle against society.



전시장 전경 사진 
            





















(48927)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길 43 | TEL 051-724-5201 | mail:openspacebae@hanmail.net
Alternative space_ Openspace Bae, 43 Donggwang-gil, Jung-gu, Busan, Korea | Tel. +82-51-724-5201
(c)2006 SPACEBAE. ALL RIGHTS RESERVED.
산복도로1번지프로젝트 | 안雁창窓고庫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