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Recent News Exhibitions Our Activities Artist Free Board
 
Exhibition
Recent exhibition
Upcoming exhibition
Past exhibition
Past Exhibition
참여작가 김지영, 박종찬, 신민, 신익균(한국), 쿠로다 다이스케(일본), 단단다이, 황슈, 한치, 왕신(중국), 영청(홍콩)
전시기간 15.08.29(Sat)-2015.09.14(Mon)
전시정보 Artist talk 2015.08.29(Sat) pm4:00
 
2015 오픈투유 입주작가전시-"are we All we are"
2015 오픈투유 입주작가전시-"are we All we are" 

2007년 국내 작가를 대상으로 시작한 오픈 투 유 레지던스 프로그램은 2009년을 기점으로 네트워크의 폭을 세계로 넓혀 놓았습니다. 
그간 한국을 비롯한 몽골, 일본, 대만, 마카오, 캐나다, 스위스, 독일, 터키, 영국, 미국 등에서 많은 작가들이 이곳을 지나갔고 또 지내고 있습니다. 
부산의 외곽 그것도 산속 깊숙히 자리잡은 오픈스페이스 배는 때로는 고립된 섬처럼 때로는 아늑한 안식처와 같은 지리적 특성을 통해 참여한 작가로 하여금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려 노력하였습니다. 
잔혹한 무더위와 불편한 환경 속에서 꿋꿋하게 자기만의 프로젝트와 소통을 수행하고 있는 작가들의 삶과 작업을 만날 수 있는 시간을 준비하였습니다. 늦여름 밤 배 밭에서 벌어질 이 낯설고 황홀한 만남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OpenSpaceBae has been launched domestic artist-in-residence program in 2007 and it expanded its' networking boundary into the global as an international artist-in-residence program in 2009. 
In the meanwhile, many of international artists has been involved with this program from Mongolia, Canada, Switzerland, Japan, Macao, Germany, Turkey, Thai, Taiwan, England, U.S.A and Korea etc. 
OpenSpaceBae has been settled down in the middle of Ilgwang-mountain which is far from Busan's downtown. 
One hand the location of Bae feels like an isolated island but another hand it feels like cozy shelter to the participated artists. 
We strongly believe that fellow artists can convert this kind of inconveniences into an energy for the sailing to 'the invisible island'. 
In spite of the brutal summer weather, every artist still keep going their communications and their own projects. 
OpenSpaceBae invites you to this uncanny event with starry summer night and residence artists here in OpenSpaceBae.

○ 전시기간 : 2015.08.29(토) - 2015.09.14(월)
○ 작가와의대화 : 2015.08.29(토) 늦은 4시
○ 관람시간 : 오전 11시부터오후 7시까지 (매주 월요일은 휴관합니다.)
○ 전시장소 : 오픈스페이스 배

○ Dates : Aug.29.2015(Sat) - seop.14.2015(Mon)
○ Artist talk: Aug.29.2015(Sat) 4:00pm
○ Open hour : 11am to 7pm (closed on every Monday)
○ Venue : Opensapce Bae


1. 전체행사일정
오픈스튜디오 일정 : 2015.08.29 9.01/02
전시일정 : 8/29(토) - 9/14(월)
오픈스튜디오 및 전시오픈 : pm4:00
장소 : 오픈스페이스 배 전시동 및 작업동
입주작가 전시 “are we All we are?”

2. 2015참여작가
김지영, 박종찬, 신민, 신익균(한국), 쿠로다 다이스케(일본), 단단다이, 황슈, 한치, 왕신(중국), 영청(홍콩) 

3. 초청패널
이훈희(아트포럼리 대표), 박금옥(제주 아트창고 대표), 황석권(월간미술 수석기자), 슈양(독립큐레이터, 전 시안미술관 관장/중국), 

4. 메인이벤트 일정
2015.8.29.Sat 16:00~
1부행사
16:00-17:00 : 등록 및 다과
17:00-18:30 : 입주작가 스튜디오 방문 - 작가와의 대화
18:30-19:00 : 간단한 식사 및 휴식
19:00-20:00 : “입주작가전시-전시제목”전 오프닝
19:40-20:00 : 오픈투유 도큐멘트 영상관람 및 자유대화
2부행사
20:00-21:00 : 축하공연
21:20-      : 디너파티

5. 세부 행사 일정
2015.8.30.일 11:00~13:00
<Chinese contemporary art’s movement by second generation>
2세대 중국 현대미술의 움직임
발제 : 슈 양 (독립큐레이터, 전 시안미술관 관장) 
진행 : 박창훈 (오픈스페이스배 프로그램 매니저)
장소 : 오픈스페이스 배 사무동 테라스

2015. 9.01.화 15:00~16:30
오픈스튜디오 (참여를 원하시는 분은 이메일로 사전 예약 바랍니다)
장소 : 스튜디오
발표작가 :박종찬

2015. 9.02.수 13:00~16:30
오픈스튜디오 (참여를 원하시는 분은 이메일로 사전 예약 바랍니다)
장소 : 스튜디오
발표작가 : 김지영, 신익균

2015. 9.03.목 16:30~17:30
오픈스페이스 배 인턴 레지던스 참여 후기 발표
장소 : 배 카페
발표자 : 김동희



”are we All we are?”

또 한번의 뜨거운 여름이었다. 해마다 폭우에 잠기는 스튜디오의 비 바닥도 내리 쬐는 해에 달궈지는 슬레이트 지붕도 오픈스페이스 배, 스튜디오의 풍경이다. 그 풍경 속에 열기를 더하며 지낸 10여명의 작가들은 입주전까진 일면부지에, 서로 다른관심사와 작업 환경, 그리고 입주기간이 지나 돌아갈 곳도 군산, 서울, 베이징, 상해, 홍콩과 히로시마다. 거리 만큼이나 차가울 수 있었던 타인은 이곳에서 만큼은 ‘우리’라는 이름으로 지냈고,  모두가 함께하는 전시를 같이 만들고 있다. 
다양성에 무게 중심을 두고, 개성과 차별화로 무장한 작가들에게 우리라는 이름의 하나된 공동체는 가능한 것 일까?  이곳의 생활은 자연에 노출된 만큼이나 서로의 생활에도 그 만큼이나 개방된 곳이다. 위선과 가식으로 서로를 속일 수도 없었을 것이며, 자신을 드러낸 만큼이나 서로에게 불편했을 것이다. 이들은 그 ‘우리’라는 공동체 안에서 그 갈등의 폭을 만들었을 것이며, 또한 그 폭을 넘어, 서로를 이해하며, 각자의 방식안에서 다른 듯, 닮은 듯한 우리라는 모습에 접근해 갔을 것이다. 공동 전시를 위해 홍콩의 한 작가가 제안한 전시명  “are we All we are?”,의문문의 전시 제목은모두라는 중심축을 경계로 ‘we are’가 전사 된어진 채 정합의 모양을 이루고 있다. 데칼코마니의 그림을 보는 것 처럼 ‘우리는?’이라는 질문은 우리의 이야기를 전하는 것인지, 지금 현재하는 우리의 장소를 묻는 것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우리의 모습이 투사 될 곳은 ‘모두’라는 그 축을 경계하여 정합을 이룰 것이며, 그 정합의 틀은 분명 억압의 방식이 아닌 이곳의 풍경 만큼 자연스러움의 방식이어야 할 것이다. 그 자연스러움이란 ‘다름’이란 이름으로 경험 되어진 이곳을 둘러싼 그 모든 것으로 부터 통과되어 지나온 것 이다.  도시에서 온 이들은 이 곳의 산 속 생활이, 타국에서 온 이들은 이 곳의 언어 환경이 달랐을 것이다. 이 곳의 환경과 접촉되며 자연 속에서 감각하고, 이 곳의 사람들과 접촉 되며 작가들은 서로에게 반응하였다. 어떤 작가는 자신의 작품에 벌레울음 소리를 불경 읊는 소리처럼 녹음한 사운드로 덧 씌우고, 어떤 작가는 뜨거운 스튜디오를 더욱 더 뜨겁게 만드는 난방 설치를 시도한다. 또 어떤 작가는 배밭의 열매에 지나온 자신의 경험과 자국의 풍경을 병치 시켰고, 어떤 작가는 서로의 자국 언어를 교환하고사용하며 유희를 즐겼다. 이 모든 모습이 ‘우리’안에서의 각자의 모습을 담아내며, 이 곳에서의 ‘각자’의 모습은 우리안에 수렴되었다.  
“유사는 유사를 낳는다”라는 인과율은 프레이저가 ‘황금 가지’에서원시 공동체에서 행하는 주술의 원리로 정리한 바 있다. 결과는 그것의 원인과 닮아있다는 원시 주술의 사고가 이 곳의 생활을 기반으로한 이번 전시에 적용된다고 하면 너무 큰 비약일까? 유사의 법칙에서 원시 주술사는 모방을 통하여 어떤 결과를 가져오길 기대한다고 한다. 비를 원하는 대지에는 마른 풀에 물을 적셔 뿌릴 것이고, 멈추길 원할 땐 대지위에 불을 피울 것이다. 한 번 서로 접촉한 것은 그 접촉이 떨어진 이후 계속해서 서로의 중력으로 끌어 당길 것이며, 서로 작용하여 동일한 결과를 낳을 것이다. 지금, 오늘날 우리가 행하는 예술의 형태와 그리고 예술의 기대치는 무엇일까? 현재와 미래 대한 질문,그 대답 이전에 야생속 원시의 주술사 처럼 공감적 관계 속에서 서로 접촉하라, 그것이 우리에게 닿아 있는 대기 속 온도이건, 숲에서 불어오는 바람이건, 혹은 피부에 맞닿은 타인의 체취이건 간에…감여되라, 어두운 구름 속 멜랑꼴리의 기운에, 바다에서 산으로 밀려오는 안개와 별안간 내리쬐는 햇빛으로 부터 승화 되어지는 열반의 경험으로 부터…



”are we All we are?”

Is it possible to combine artists who are equipped with uniqueness and differentiation and who focus on diversity into a single group that can be called ‘we’? Artists’ lives in OpenSpace Bae were as revealed to each other as they were exposed to nature. They could not have deceived others with hypocrisy or pretense, and could cause discomfort as they disclosed themselves. They must have had conflicts within the group, but overcoming these conflicts they must have understood each other, forming a group in which the numbers look different yet similar, in their own ways. In the title of the group exhibition suggested by a Hong Kong artist, “Are We All We Are?” the term “we are” is transcribed on both sides of “all,” that is, it is in the middle of the title, forming a palindrome. Like when we look at decalcomanic patterns, it is not clear that the phrase “are we” is trying to deliver their story or ask about the location where they are currently at. Merely, the place where their creation activities will be projected onto will form a conformity on the border of “we.” And the frame of the conformity must not be conducted through oppression but based on the way of naturalness as in the place of OpenSpace Bae. The naturalness moved through all things surrounding OpenSpace Bae that artists experienced through the name of “differentiation.” People who came from the city experienced life on the mountain, and people who came from foreign countries experienced a different language. Staying in this environment, they sensed nature, and living with others, they responded to each other. An artist added to their work a sound that recorded the singing of insects like the sound of Buddhist scriptures being read. An artist tried to set up a heater that made their hot studio even hotter. An artist put their country’s landscape and their experience side by side on pears that were growing in the yard of OpenSpace Bae. Some artists enjoyed making works using the languages of the other artists. These creation activities all contain each other’s uniqueness within “us,” and each other’s uniqueness was converged within “us.”  
In “The Golden Bough: A Study in Magic and Religion,” James George Frazer explained the principle of cause and effect, i.e., “similarity gives birth to a similarity,” as a principle of sorcery. Is it too far a jump of logic if the idea of primitive times be applied to this exhibition prepared based on the artists’ lives in Openspace Bae? Primitive sorcerers expected that an imitation would produce a result under the principle of similarity. If they wanted it to rain, they must have spread water from wet grass on the ground. And if they wanted it to stop raining, they must have made a fire―once things are contacted, they will keep drawing toward each other even after they are separated, and will then give birth to the same results, responding to each other. Today, what kinds of art do artists create and what do they expect from art? I expect that before they pose questions over the present and the future, artists will contact each other like primitive sorcerers in a multisensory space, and will be infected with each other in the temperature of the atmosphere where they dwell, in the wind of the forest, or in the body odor of the person who they are in contact with, from the melancholy of dark clouds, and from the experience of Nirvana, which was sublimed from the fog that came down from the mountain and the suddenly blazing sunlight. 





2015 OPEN TO YOU 입주작가 전시 "are we All we are"전시 전경 



다이 단단 Dai Dandan (회화)

중국 베이징 출신의 Dandan은 영국, University of Wales in Wales에서 순수 미술 석사와 중국, Communication University of China 에서 미술을 전공 하였다. 베이징을 기반으로 홍콩, 미국 등지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주로 파브릭을 이용한 옵티컬 아트 계열의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다이스케 쿠로다 Daisuke Kuroda (설치,영상)

Kuroda는 일본 교토 출신으로 Hiroshima City University에서 순수 미술과, 건축으로 박사 학위를 수여 받았다. 주로 히로시마를 기반으로 역사적 컨텍스트를 반영하는 설치 작업을 하고 있다.



한치 Han Qi (회화)

중국 베이징 출신의 Han Qi는 여행을 통해 접하는 중국의 풍경을 담는 회화 작업과 함께 관련 에세이 출판을 동시에 진행하고 있는 작가이다. 



김지영 Kim ji young (설치,드로잉)

김지영은 대구 출생으로 경북 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하였고, 한국예술종합 학교 미술원을 졸업하였다.  꼴라주, 오브제를 이용한 설치 작업과 드로잉 작품을 연결시킨 에니메이션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실험적인 작업을 하고 있다.



박종찬 Park jong-chan (회화,설치)

박종찬은 군산대학교 대학원 조형예술학과를 마친 후 창작문화공간 여인숙에서 코디네이터로 활동하였다. 도시의 개발과 관한 이야기들을 페인팅과 설치 작업으로 풀어내고 있다.


왕신 Wang Xin (설치,영상)

School of Art institute of Chicago에서MAF를 마친후, 상해를 근거지로 활동하고 있는 중국 작가 Wang Xin은 관객 참여형 프로젝트와 영상 설치 작업을 하고 있다



영청 Cheung Yung (설치,커뮤니티아트)

Cheung Yung은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에서 시각 문화로 석사를 마친후, 홍콩 과 대만을 비롯한 동아시아 여러나라에서 전시와 프로젝트를 진행해 오고 있다. 주로 인간과 사회의 관계성에 주목하며,지역 재생과 관련한 이야기를 드로잉 작업과 함께 다양한 커뮤니티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슈훵 Xu Huang (사진,회화)

중국 베이징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는 중국 작가 XuHuan은 중국을 비롯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 여러 전시회를 가졌다. 사진작가 이며 화가인 그는 정물과 풍경을 독특한 방법으로 표현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48927)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길 43 | TEL 051-724-5201 | mail:openspacebae@hanmail.net
Alternative space_ Openspace Bae, 43 Donggwang-gil, Jung-gu, Busan, Korea | Tel. +82-51-724-5201
(c)2006 SPACEBAE. ALL RIGHTS RESERVED.
산복도로1번지프로젝트 | 안雁창窓고庫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