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Recent News Exhibitions Our Activities Artist Free Board
 
Exhibition
Recent exhibition
Upcoming exhibition
Past exhibition
Past Exhibition
분 류 2007
참여작가 이동문
전시기간 2012.11.24~12.11
 
2012 이동문 개인전-강은 우리에게/Lee Dong-Moon solo exhibition 'the Rivers to us'
 
  

 
전시일정: 2012. 11. 24-12. 8
전시장소: 오픈스페이스 배 전시장
작가와의 대화: 2012. 11. 24 늦은 6시
관람시간: 11am-6pm (매주 월요일은 휴관입니다)
 
Dates: Nov. 24-Dec. 11, 2012
Venue: OpenSpace Bae gallery
Artist talk: Nov. 11, 6pm
Open Hours: 11 to 6pm (Closed on Monday)
 
 

<강은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고 있나

김재환 경남도립미술관 학예사


사진은 현대미술의 한 자리를 꿰찬 후 스스로의 정체를 밝히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왔고 자신만의 독자적인 영토를 구축했다. 사진 매체만의 특이성을 강조하면서 기존 미술과의 차이를 강조하면서 말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마술적 조작이 가능한 매체로서 사진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비엔날레까지 개최되는 걸 보면 그 영토 구축은 공고해진듯하다. 더불어 사건의 기록, 대상의 재현, 기억으로서의 이미지, 그 곳 그 때의 흔적 등으로 논의되는 사진의 특성은 역사의 뒤안길로 물러나길 강요받고 있다. 그런데 마술적 조작과 창조적 행위로서 사진다움은 비단 사진만의 속성도 아니거니와 그렇게 새로운 것도 아니다. 아서 단토(A. Danto)가 예술의 종말을 선언하고 컨템퍼러리 아트의 등장을 공언했을 때부터 현대미술에 대한 논의는 매체 중심적 사고방식을 일찌감치 벗어났다. 다시 말해 그 매체가 무슨 이야기를 어떻게 하고 있는가가 현대 미술 논의에서 중요한 지점이 되었다. 그러다보니 흥미롭게도 이야기 대상을 묵묵히 카메라 프레임을 통해 포착하는 현장 사진이 현대미술의 맥락에 닿아 있는 듯 보인다. 즉 사건의 기록, 기억, 재현, 흔적으로서의 현장 사진이 이야기 대상을 드러내는 효과적인 매체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나아가 그 자체가 하나의 이야기가 된다.



 

이동문 작가의 <강은 우리에게>시리즈 역시 바로 이런 현장 사진의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작가는 2010년 1월부터 2년 간 4대강 공사가 진행된 낙동강을 답사하며 그 풍경을 카메라에 담았다. 낙동강 공사 구역 중 함안보, 남지교, 합천보, 달성보 주변이 이야기 대상이다. 사진을 보고 있노라면 ‘4대강 살리기 공사’라는 슬로건이 얼마나 어처구니없는지 실감하게 된다. 오래전 TV의 한 퀴즈 프로그램에서 포크레인 기사가 지구를 조각하는 조각가라며 자신을 소개한 적이 있는데 4대강 공사 현장의 포크레인은 안타깝게도 지구를 갉아 먹는 암세포 같은 느낌이다. 실제 현장에서 직면하는 포크레인은 사실 보이지도 않는 상상의 암세포가 아니라 말 그대로 파괴자의 모습이다. 자연을 뒤엎는 토목공사는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무자비하게 대상을 파괴한다. ‘자연은 인간과 생태계의 지속성을 위해 보존되어야 한다는 보편적 사고’가 ‘자연은 인류 문명의 발전을 위해 정복되어야할 대상이라는 (서구의) 근대적 의식’ 앞에서 여지없이 무너지는 현장이다. 그 규모의 어마어마함은 현장의 목격자들로 하여금 분노와 안타까움 그리고 무력감을 동시에 느끼도록 만든다. 이 복합적 감정은 이동문 작가도 마찬가지였으리라.



 

그가 포착한 이미지에는 자연의 원래 모습과 공사로 파헤쳐진 폐허가 날 것 그대로 드러나 있다. 공사가 한 참 진행되는 동안 촬영했으니 아름다운 자연과 충격적인 파괴를 동시에 목격한 결과일 것이다. 4대강 공사 현장은 외부인의 출입을 철저히 차단하고 있었기에 목격의 지점이 현장 언저리일 수밖에 없다. 그의 카메라가 포착할 수 있었던 건 공사 현장의 바깥 지점이며 흔적들이다. 하지만 자연의 비명소리에 가슴 아파하던 그였기에 현장의 흔적만을 포착하는 것에 만족하지 못했을 터. 물리적 원흉인 기계들의 모습을 뷰파인더에 포함시킨다. 있는 그대로의 아름다운 자연, 인간과 기계에 의해 폐허가 되어 버린 풍경을 동시에 담아내고 싶었던 작가는 그렇게 자신만의 미장센을 찾아냈다. 전경의 폐허 또는 자연, 중경의 공사현장, 후경의 자연이라는 기본 구도는 그렇게 만들어졌다.

따라서 그의 작품에서 대상을 현미경처럼 들여다보는 적극적인 응시를 찾아보기는 어렵다. 더구나 풍경을 재현하는 사진 문법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어 작품들은 친숙하게 느껴진다. 이러한 익숙함은 대상에 집중하는 효과를 떨어뜨리며 이야기에 집중하는 시간을 줄어들게 한다. 파괴의 물리적 원흉인 포크레인을 화면 뒤쪽에 위치시킴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려 했지만 포크레인 자체가 이야기의 중심이 될 수 없기에 효과는 반감된다. 4대강 공사의 문제와 현장의 참혹함을 기록하고자 사회적 욕망과 사진 작가로서 자리 잡기 위한 예술적 욕망 사이에서의 외줄타기는 역시 쉽지 않아 보인다.



 

그렇다고 그가 사진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우리가 읽어내지 못할 것은 없다. 낙동강의 소리 없는 울부짖음을 시각적으로 드러내는 그의 작업은 우리에게 있는 그대로 자연의 가치를 깨닫도록 해준다. 인간의 손길이 닿으면 자연이 어떻게 파괴되는지 여실히 알 수 있다. 자연을 개조하겠다는 오만함, 이를 통해 경제적 이득을 취할 수 있다는 이기심은 개발과 근대화가 곧 우리를 구원할 것이라는 믿음과 만나 폐허를 건설하고 있다. 벌써 극복되었어야할 개발 강박증은 이런 연유로 우리 세계에서 여전히 실현되고 있다. 지난 한 세기 애써 외면한 생태계의 파괴를 직시하는 것은 그래서 중요한 일이다. 밀착된 시선으로 건설 중인 폐허를 직면하는 것. 우리 모두에게 필요한 행위다.
 
 

낙동강 3공구 구포 / Digital C-print /  100x80cm, / 2010
 
 
 

낙동강 17공구 본포리 / Digital C-print /  100x80cm / 2010
 
 
 

낙동강 18공구 함안보 / Digital C-print /  100x80 / 2010
 

What Do ‘the Rivers’ Say to Us?

 

Kim Jae-hwan Curator of GyeongnamMuseum of Art

 

 

Since photography took a place in modern art, it has been endlessly developed to prove its identity, settling its unique field. Emphasizing its property, it has distinguished itself from other existing art genres. It became a medium that allows photographers to even conjure tricks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recent digital technology. When seeing that a biennale for sounding out its potential is held, it seems that its field has been secured firmly. And such properties of photography as the recording of events, the reproduction of objects, images for memory, and tracks of the past are forced to step back into the mists of history.

 

On the other hand, photography as a magical operation and creative action is neither a new concept nor the property of only photography. Since A. Danto declared the end of art and stated the appearance of contemporary art, the discussion on contemporary art has deviated from a media-centric way of thinking. In other words, these days, what a medium is talking about is an important point in the discussion of contemporary art. So, interestingly, it seems that photographs catching spots where something happens through the frame of the camera stand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art. That is, on-the-spot photography as the record, memory, reproduction, and trace of an event carries out the role of an effective medium that reveals the object of a story and furthermore it itself becomes a story.

 

Artist Lee Dong-moon’s series “The River to Us” shows the property of on-the-spot photography. For two years, from 2010 January to 2012 January, he explored the Nakdong River, one of the Four Rivers where refurbishment projects were conducted, taking pictures there. Among the construction sites of Nakdong River, he focused on Hamanbo, Namjigyo, Hapcheonbo, and Dalseongbo. If you look at his photographs, you will realize how the slogan of ‘Construction to Revive the Four Rivers” is unreasonable. In a TV quiz show long ago, an excavator driver introduced himself as a sculptor who carved the Earth. Unlike this excavator, the excavators in the construction sites of the Four Rivers seem like cancer cells that gnawed the Earth. And when you look at the excavators in the construction sites, you will also realize that they are not just imaginary cancer cells to the Earth but literally the destroyers of the Earth. The engineering works that overturn nature destroy natural things far more mercilessly than we imagine. In these sites, ‘the universal thought that nature must be preserved for humans and the continuity of the ecosystem’ is flatly crumbled away in front of ‘the (Western) modern thought that nature is an object that should be conquered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s. The enormous sizes of the construction sites make witnesses feel anger, sadness, and a sense of helplessness. Lee Dong-moon would also have felt such complex feelings.

 

His photographs present the original scenes of nature and the vivid scenes dug out by the construction. Since he took pictures while the construction was being conducted, he looked at beautiful nature and shocking destruction at the same time. Since the construction sites thoroughly stopped outsiders from accessing there, he could not help but take pictures on the edge of the sites. The scenes his camera could catch were spots outside of the construction sites and their traces. However, since he felt sad at the screams of nature and could not be satisfied only with capturing the traces of the construction, he contained the appearance of machines in his viewfiner. Wanting to contain beautiful nature and the scenes ruined by humans and machines at the same time, he found his mise-en-scene. Basic compositions such as ruins or nature in the foreground, the construction sites in the middle, and nature in the background were made in this way.

 

Thus, in his pieces, it is hard to find objects that he closely stared at like looking at something through a microscope. And since he faithfully performed the grammar of photography for the reproduction of the landscape, you can feel familiarity from his pieces. Such familiarity drops the effect in which the viewer focuses on an object, reducing the time of focusing on the story. By making the excavators, which are the physical culprits that destroy nature, placed in the back of the photographs, he tried to solve this problem, but since the excavators themselves could not be the center of the story, the effect of the composition is cut in half. It does not appear easy for him to find a balance between his desire as a citizen to record the problems of the Four River Refurbishment Project and his artistic desire to be settled as a photographer.

 

However, it is not that we cannot read the stories he tries to deliver through his photographs. His work that reveals the soundless cry of Nakdong River visually leads us to realize the value of nature. We can know how nature is destroyed easily if humans reach out their hands to it. Arrogance that people can renovate nature and selfishness that they will obtain economic profit through it, met the faith that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will save us, and it brought out ruins. The obsession with economic development that should have already been overcome is still influencing our world. Thus, facing the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that has been ignored during the last century is important. Facing the ruins in the construction of the Four Rivers with a close look is necessary to all of us.

 

 

 
 


낙동강 14공구 시산리 / Digital C-print /  100x80cm / 2010
 
 

 

낙동강 17공구 남지 / Digital C-print /  100x80 / 2010
 
 

낙동강 17공구 대산면 / Digital C-print /  100x80 / 2010
 

이동문 작가노트
 
2010.1월, 이른 아침 낙동강 합천 근교

잘려진 강 허리에서 가물막이용 철벽을 강바닥에 박기 위해 천공기 공사를 하고 있는 4대강 현장에서는 수면에 얼어붙은 살얼음이 떨릴 만큼의 날카로운 굉음이 울려댄다.
사진 작업을 위해 몇 시간 동안 이곳저곳을 둘러보니 얼핏 분단된 우리 땅 한반도 모양을 하고 있는 강기슭을 발견하곤 이내 카메라 장비를 설치했다.  촬영하는 내내 굉음과 함께 살얼음이 진동하는 소리가 마치 허리가 잘려 살려달라는 듯한 이 땅의 비명소리처럼 들렸다.
수천 년 동안 유유히 자연스럽게 생겨난 곡선으로 굽이 흐르는 강의 모습이 인위적인 직선의 수로형태로 크게 변형되었다.
'돌돌돌’ 흐르는 얕은 모래 너울에서 굽이치는 모든 강의 형태가 곡선으로 흐르고, 그 속에서 버들치 누치떼들이 노닐고, 수많은 생명이 모여 만들어진 거대한 자연 생태 시스템 자체가 우리의 강이다. 또한, 그 생태시스템에 의해 강은 오염을 분해하는 정화 기능을 한다.

어릴 적 시골 강가에서 물놀이하며 가재를 잡고, 물고기를 잡던 추억도 이젠 더는 이곳에서 사라져 버렸다.
생명이 숨 쉬던 추억의 강이 인공의 수로로 변모하고 있다. 생명이 잉태되던 모래톱이 사라지고 흐르던 강물이 이젠 잔잔하게 고여 버렸다.
강을 습지와 육지로 연결된 하나의 생태시스템으로 보지 않고, ‘수자원’이라는 단순한 자본적 가치로만 바라보는 인간의 이기심 때문이다. 해마다 낙동강에 날아오던 수많은 철새 떼들은 그 수가 줄어 더 이상 날아오지 않는다. 오직 물만 가득 찬 강에는 더는 쉴 곳과 먹을 것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전국의 4대강에 동시에 저질러진 이 정체불명의 거대 토목공사는 그런 생태 시스템인 강의 순기능을 무시해 버린 채 가파르고 깊은 직선의 물 항아리로 만들어 버렸다.
인류의 문명은 강에서 태동했다. 강물이 적신 땅에 사람들이 모여들었고, 강은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었다.
강은 인간의 문명과 역사를 가능하게 했으며, 인간에게 한없이 베풀어주는 그런 너그러운 존재였다.
그러한 강이 말없이 흐느끼며 마지막 비명을 지르고 있다. 만약 지금의 어리석은 행동들을 멈추고 되돌리지 않는다면, 강은 그동안 우리에게 배풀어 왔던 모든 것들을 거두어들여 거대한 재앙으로 돌아올 것이다. 그래서 강의 침묵이 더욱 두렵다.
물 부족 해결, 수질개선, 홍수예방, 35만 명의 일자리 창출, 녹색 4대강사업, 행복 4강 그들이 늘어놓은 수많은 명분과 수식어도 이제 진실이 아님을 안다. 어쩌면 그들은 공사 그 자체가 목적이었기 때문이 아닐까.

멀쩡히 생명이 숨 쉬고 살아있는 강을 다시 살린다는 기가 막힌 명분으로 전례 없이 강을 파괴하고, 강 허리가 끊긴 채 우뚝 솟은 저 거대한 철의 장벽들을 바라보면,
촛불 시위 때 시민의 진입을 막기 위해 광화문 앞을 막아 놓은 거대한 컨테이너 장벽 이른바 ‘MB 산성’이 연상된다.
국민과의 소통 없이 아니 소통을 필요치 않은 막무가내 밀어붙이기식의 거대 토목공사. 그들이 제시한 이유 중 어떠한 것도 국민의 공감을 끌어내지 못한 채 그들의 말 그대로 전광석화 같은 속도전으로 2년 안에 끝내버린 거대한 환경파괴 사업.
소통을 원하는 국민의 수많은 목소리에도 불구하고 오로지 그들의 논리로만 강행하여 만든 거대한 철의 장벽,
이제 그것은 국민과의 불통을 암시하는 그들만의 상징이 되어버렸다.


 


낙동강 11공구 삼랑진 / Digital C-print /  100x80 / 2009
 
 
 

낙동강 17공구 칠서 이룡리 / Digital C-print /  100x80 / 2010
 
 
 

낙동강 18공구 함안보 / Digital C-print /  100x80 / 2010
 

Lee Dong-moon

Hapcheon near the Nakdong River during an early morning in January 2010

Deafening booms that made the thin ice on the surface of Nakdong River shake were roaring around the river, which looked like its waist was cut. This is one of the Four Rivers where engineers drilled the bottom and fixed iron walls for cofferdams.
I had been looking around here and there to find a good place to take pictures when I had spotted the scene. At a glance, the shape of the river had appeared like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and I had soon installed my camera equipment at the riverside.

I took pictures there, hearing the roars of machines and feeling the vibration of the river. It seemed like the river made an appeal for help and cried with pain due to the cut stream. Its original curved line that had been naturally formed over thousands of years was being transformed into an artificially straight channel.

All rivers flowing on sand bottoms are bound to meander along their curved river banks. In the rivers, many fishes swim around and other living things lead their lives in their own way. A river itself is a huge ecosystem. With this ecosystem, rivers break down pollution, purifying themselves.

However, now we can no longer play next to the Four Rivers and fish in it like when we did in the past.
The rivers of reminiscence where living things used to breathe were transformed into artificial channels. The sandbanks in them where new lives used to be born are disappearing, and the rivers that used to flow peacefully are stagnating.

This is because of the selfishness of the people who look at the rivers not as ecosystems but as water resources. The number of migratory birds that used to come to Nakdong River every year is reduced, and it is now hard to see them again. This is because the river filled only with water has no shelter or food for them.

The huge civil engineering project enforced in the Four Rivers has made the rivers into straightened deep water jars, ignoring their ecosystem.

Human civilizations were born in the riversides. People gathered in the land wet with rivers and the rivers made their lives rich.
Rivers made human civilizations and history possible. And they gave humans everything and were generous to them.

However, now the Four Rivers are crying out their last scream. If the people do not stop their foolish actions and return everything to their original place, the rivers will remove all things that they used to give us and turn into huge disasters. Thus, the silence of the rivers is more frightening.

We know that excuses such as solving of a lack of water, the prevention of floods, and the creation of jobs for 35 million people, and slogans such as the green Four Rivers project, and happy Four Rivers, are not true. Construction itself is likely the real purpose.

Under the nonsensical idea that they would revive the rivers that were breathing well, they destructed them unprecedentedly. The huge towering iron walls that cut the flow of the rivers remind me of the so-called ‘MB wall’ that was made with big containers to block protesters in Gwanghwamun streets.

This is a colossal public work that was obstinately conducted without communication with the citizens. Failing to get sympathy and recognition from the citizens with the reasons that they offered, they finished the gigantic environment destruction project in two years at lightning speed.



 


낙동강 16공구 밀양 명례리 / Digital C-print /  100x80 / 2010



 




낙동강 16공구 수산 / Digital C-print /  100x80 / 2010



 



 



낙동강 20공구 합천보 / Digital C-print /  100x80 / 2010


 


 


 


 



 

 낙동강 20공구 합천보 / Digital C-print /  100x80 / 2010


 

(48927)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길 43 | TEL 051-724-5201 | mail:openspacebae@hanmail.net
Alternative space_ Openspace Bae, 43 Donggwang-gil, Jung-gu, Busan, Korea | Tel. +82-51-724-5201
(c)2006 SPACEBAE. ALL RIGHTS RESERVED.
산복도로1번지프로젝트 | 안雁창窓고庫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