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Recent News Exhibitions Our Activities Artist Free Board
 
Exhibition
Recent exhibition
Upcoming exhibition
Past exhibition
Past Exhibition
분 류 2011
참여작가 권인숙,사윤택,윤소연
전시기간 2011. 4.9 - 5.7
전시정보 오픈 및 작가와의 대화 : 2011.4.9.(sat) 6 pm
 
배 밭에서 한밭을 만나다. 2011 Local to Local 'Daejeon to Bae'
참여작가: 권인숙,사윤택,윤소연
기획 :'스페이스 씨' 박정구 큐레이터

오픈 및 작가와의 대화 : 2011.4.9.(sat) 6 pm
전시기간: 2011. 4.9 - 5.7
장소: 오픈스페이스 배 전시장

관람시간: 11am~6pm
매주 월요일은 휴관입니다

April 9 to May 7 . 2010
Artist talk and Opening reception: April 9, 6pm
Venue: Openspace Bae Gallery
Open hour: 11am to 6pm
Closed every Monday


배밭에서 한밭을 만나다
-세계를 그리는 세 개의 時角-

‘오픈스페이스배’에서 매년 주최하는《배밭에서 한밭을 만나다》전이 올해로 4번째를 맞았다. 한 지역의 ‘대안공간’이 다른 지역 작가의 작품을 지속적으로 전시하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이 아닐 수 없다. 그것은 한편으로는 배가 위치한 부산이라는 지역의 미술이 지닌 정체성을 찾고, 다른 한편으로는 젊은 작가들의 작업이 펼쳐 보일 지향이 보다 탄탄한 근간 위에 서도록 도우려는 노력 가운데 하나로서, 타 지역 미술과 견주고 소통하는 일을 의미 있게 여기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여러 면에서 여의치 못한 여건을 가진 ‘대안공간’이 이러한 프로그램을 단지 운영상의 기법이나 일회적 이벤트로 여기지 않고 꾸준함을 버리지 않음에 대해 깊은 공감을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그 대상이 다름 아닌 한밭이라는 점에 대해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이번 《배밭에서 한밭을 만나다》전은 ‘세계를 그리는 세 개의 시각’이라는 부제를 가지고 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대전을 근간으로 활동하는 작가 3인이 자신이 생명활동을 꾸려가고 있는 이 세계와 맺고 있는 관계와 소통방식, 혹은 세계를 바라보는 시각을 보여주는 작품전시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각자의 인생관, 혹은 세계관을 바탕으로 사적인 사물과 공간, 그리고 상상력을 동원하여 우리가 대하는 일상적인 그것과는 다른 낯선 세계를 창출해 보여준다.
장르 파괴와 설치, 영상과 테크놀러지가 일반화 된 지금, 캔버스에 물감으로 그린 그림만으로 전시를 하고자 하는 이유는, 회화가 그것들에 비해 작가의 신체가 가장 중요한 매개체인 생산물이라 여기기 때문이다. 신체를 매개로 한 생산물은 인간의 정신이나 감정을 가장 순수하고 직접적인 방식으로 육화해 낸 것이며, 그러한 점에서 작가의 본성과 미적인 감각이 가장 명쾌하게 들어나는 수공품(手工品)일 것이라는 생각인 것이다.
전시가 그러한 전제를 가진다는 것은 결국, 회화를 통해서 ‘한밭’을 근거로 삼고 있는 작가들과 ‘부산’을 근거로 하는 작가들 사이에 구별을 둘 만한 감수성이나 미적 취향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물음을 염두에 둔 것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이들 삼인조차 대전에 연고를 둔 많은 작가들 가운데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으며, 한밭 인근에서 벌어진/벌어지는 회화의 정서가 가진 어떤 한 단면도 대표한다고 할 수는 없다는 점을 이야기하지 않을 수 없다.
사실 오늘날 벌어지고 있는 우리나라 미술에서 지역적 특성을 구별해 낸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거나 별다른 의미를 가지지 않는 것인지도 모른다. 또한 어떤 식으로든 확인해낸 구별이 미술의 지역적 정체성을 부여하는데 유효한 수단이 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지역성과 세계성, 특수성과 보편성, 그리고 지역적 정체성 등의 문제는 별개의 논의가 필요하다고 여긴다.).
다만 이렇게 지역을 옮겨 함께 전시를 함으로써, 한 지역을 감싸고 있는 대기의 기운에 의해 미처 충분히 주목하고 있지 못했던 것, 즉 미술과 그것을 둘러싼 많은 것들에 대한 접근과 해석에 무수한 다양성이 존재함을 재차 각성함으로써, 자신 지역에 혹시 묵인되고 있을 수도 있는 정태적·퇴행적 양상들을 경계하는 계기로서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아울러, 이처럼 지역 간의 교류나 비교가 꾸준한 것은, 본질적으로, 다른 어떤 원인이나 목적에 의해 추동되고 있다고 보아야하는 면도 존재한다. 그것은 다름 아닌 ‘중앙’ 대 ‘지역’의 문제라고 할 것이다. 의식적이건 무의식적이건, 어떠한 방식으로든 이루어지는 지역의 연대는 각자가 가지는 결핍을 메우고 해소하며, 또한 동질감과 동료의식을 채우는 일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지역미술이 해결해야할 난제들은 무수히 많고, 중앙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해결될 수 없는 점들도 많다. ‘광역시’라는 허울로 ‘특별시’에 버금가는 수혜를 받고 선민의식을 지닌 대한민국 제 2의 도시 부산과 중부 최대 도시 대전은 미술에 있어서만큼은 서로가 서로를 부러워할 만큼 난형난제의 형편에 놓여 있음이 사실이다. 그러한 형편은 여타 광역시 또한 마찬가지이다. 문화예술은 여전히 ‘서울 빼면 다 시골’이라는 현실적인 상황이 존재하는 것이다.
그러한 점에서 지역의 문제들 해결하고 나름의 경쟁력이나 정체성을 확보하는 필수적이고 선결적인 과제는 다름 아닌 내부의 모순과 불합리의 해결이 될 수도 있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중앙보다 앞서 내적인 문제들을 솔직하게 시인하고 해결해 나갈 때 비로소 경쟁력과 자생력의 끄트머리를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그러한 점에서 소위 ‘대안공간’이 궁극적으로 견지해야할 노선 가운데 중요한 하나는 이들 내적 불합리와 모순을 보다 직접적으로 지적하고 대결해 나가야하는 것이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따라서 배밭(부산)과 한밭의 교류와 협력이 가지는 의의 또한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한 연대로 발전할 가능성을 만드는 일이라는 점에서도 찾을 수 있고 본다.
이번 전시가 네 해에 이르는 한밭에 대한 배밭의 노력과 정성에 조금이나마 답이 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아울러 한밭에서도 조만간 배밭이 공들여 찾아내고 있는 부산미술의 성과를 함께 나눌 수 있는 자리가 만들어져 한밭과 부산 모두에게 실질적인 힘과 격려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권인숙은 기본적으로 본인이 인연을 맺었던 일상의 사물이나 공간을 소재로 작업한다. 자신의 소지품이나 집, 작업실, 여행지 등이 그것이다. 그는 그러한 사물이나 공간을 이용하여 시간과 사건, 기억과 자기존재가 축적된 화면을 구성함으로써, 통상의 3차원 세계와는 달리 시간과 공간이 휘어지고 왜곡된 듯이 보이는 사뭇 기묘해 보이는 세계를 만들어낸다.
어떤 한 시점(時點)에 그린 작업실 모습에는 그 이전에 그렸던 작품과 물건들이 당시에 놓였던 위치나 모습대로 등장하고, 다음 시점에 그려진 작업실에는 그렇게 그려졌던 그림이 다시 소품이나 배경으로 등장한다. 한편으로는, 자신이 여행했거나 기억에 남는 장소를 그리면서 예의 그림이 포함된 작업실이 본래부터 거기에 있었던 양 ‘슬쩍’ 삽입되어 있기도 하다. 이렇게 낯선 여행지 속에 작가의 개인적인 공간과 사물이 놓이고, 그렇게 그려진 그림이 다음에 그려진 그림의 어디엔가 놓이는 축적이 반복됨으로써, 작가에게 익숙한 공간과 사물은 작가 개인의 삶을 알려주는 정보나 소소한 사적인 신변잡기의 기록으로서의 단편적인 역할에서 벗어난다. 평범한 사물과 공간이 통상적인 삼차원적 질서를 벗어나 다른 시간과 다른 장소에 놓이고 중첩됨으로써 보는 이에게 새로운 경험과 감정적 충격을 일으키는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사람들은 누구나 살면서 소소한 일상적 사물이나 장소와 사적이면서 유일무이한 기억이나 관계를 맺고 만들며 살아간다. 작가 자신에게 사적인 일상 사물과 공간은, 그림을 보는 이 누구에게도 해당되는 개인적인 기억 속의 사물과 공간일 수 있다. 그렇기에 그의 사물과 공간은, 무의식이나 잠재의식의 세계를 드러내고자 했던 초현실주의의 ‘데페이즈망’과 일견 흡사해 보이는 이러한 방식을 통해, 우리들 각자의 사적인 기억과 이야기가 담겨 있는 대상으로 일반화되어 그 사물이나 공간에 대해 잊고 지내던 의식 깊은 곳의 감정과 정서를 끄집어 올리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권인숙 작품 캡션
빛에 남다, 2010, 캔버스에 아크릴릭, 91x130cm
작은방, 우울한 일기 그리고 행복한 나의무대 II, 2009, 캔버스에 혼합재료, 97x162cm
작은방, 우울한 일기 그리고 행복한 나의무대 III, 2010, 캔버스에 아크릴릭, 97x162cm
작은방, 우울한 일기 그리고 행복한 나의무대 IV, 2010, 캔버스에 아크릴릭, 130x162cm
투명한 자유 VII, 2010, 캔버스에 혼합재료, 112x162cm


이번에 전시되는 사윤택 그림의 특징은 시간과 공간에 관한 관심이다. 그것도 우리가 사는 일상적인 시공간이 아닌 전혀 뜻하지 않은 시간과 공간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 그의 그림이다. 그의 그림에는 테니스공이 흔히 등장한다. 그러한 그림에서는 갑작스레 어디에선가 날아온 공을 맞거나, 날아온 공에 당황하여 대응하는 순간이 화면의 중심적인 사건이 되는 것이다. 사건의 배경으로는 대체로 주변 풍경이 그려지게 된다. 한데, 사건의 주인공의 모습은 다중노출 사진처럼 두개 혹은 그 이상의 동작이 겹쳐지며, 공 또한 이리저리 튕겨 움직인 흔적들이 화면 속에 공존한다. 이는 짐작대로 여러 개의 시간이 한 화면에 중첩된 표현이다. 그러니까 그는 한 화면에 여러 개의 시간을 함께 담는 것이다.
이에 대해 그는 “충격이 가해지는 순간 열리는 새로운 시공간”이라고 말한다. 그림 속에 여러 가지 방식으로 은근히 써둔 ‘The Open Time’이 그것이다. 다시 말하면, 공을 맞거나 갑작스런 사건이 발생한 순간 주인공이 존재하는 시간과 공간이 열리면서(또는 틀어지면서, 깨지면서…) 다른 시공간들과 겹치거나 교차하는 것이다. 그것은 과거와 미래의 교차일 수도 있고, 물리학에서 말하듯 평행한 여러 세계가 겹쳐 다른 층위의 세계에 존재하는 나를 만나는 것일 수도 있다.
다른 그림들도 마찬가지이다. 다이빙을 하는 사람과 낙하산을 탄 사람이 교차하는 순간, 롤러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이 휘익 지나치는 순간, 고급 자동차가 단속카메라를 눈치 채고 급히 브레이크를 밟는 순간, 그리고 광고 중인 TV를 리모콘으로 끄는 순간, 상대의 공을 �i던 테니스 선수가 그 공을 놓지는 순간도 모두 일순 여러 개의 공간과 시간이 열렸다가 다시 닫히는 극히 짧은 시간이다.
자연스럽게 연결된 듯 보이는 배경들도 차원의 모서리에 끼어 동서남북 창마다 아프리카 사막, 북극 빙원, 아마존 밀림, 그리고 뉴욕 도심이 동시에 열려 있는 집처럼 제각기 다른 시간과 차원의 공간들이 교묘히 조화를 이루고 있는 것일 뿐이다. 그래서 하늘에는 미켈란젤로의 <천지창조>로 상징되는 태초의 시공간과 현재의 시공간이 교차하고 있는 것이다.
회화가 시간을 표현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래서 그것이 영화와 비디오가 생겨난 오늘날 회화의 한계를 드러내는 결정적인 이유의 하나가 되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래서이기 때문일까. 사윤택은 연속된 흐름이나 중첩으로서의 시간이 아니라, 서로 다른 시간과 공간의 중첩과 교차라는 방식으로 다중(多重)의 시공간을 동시에 표현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한편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문제는, 그가 조합해 놓은 한 화면 속의 사건들과 대상들은 제각기 그의 기억 속에 남아있는 사건들의 조합이기도 하다는 점이다. 순간적으로 벌어지는 사건의 배경이 되고 있는 건물들, 인물들과 그들의 행위들은 그의 기억 속에 깊이 박혀 문득문득 의식 속으로 튀어 오르는 잊기 어려운 사건의 기억들이거나 잠재된 욕망의 기호들이기도 하다. 그의 그림이 자신의 무의식이나 억압된 의식, 카오스, 혹은 파토스적인 요소들과 많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 것도 크게 틀리지 않은 말이라고 생각된다.(박정구의 개인전 서문에서 발췌)


 
 
사윤택 작품캡션
1. 순간의 유희-TV의 기억, 132×162cm, Oil on canvas, 2010
2. Momentary play, 91×116.8cm, Oil on canvas, 2011
3. Momentary play, 91×116.8cm, Oil on canvas, 2007
4. 불이야! 97×130.3cm(작품 중 일부), 혼합재료, 2006



윤소연의 근작은, 자아를 투과하여 재구성된 세계의 형상화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는 자신과 세상에 대한 스스로의 인식을 바탕으로, 밖을 향해 조심스럽게 내어 놓은 촉수에 감지되는 상념들을 자신의 자취가 남은 특정한 공간과 사물을 조합하여 표현하고 있다.
이전부터 그가 그려온 개인적이며 동시에 여성적인 취향을 느끼게 하는 옷가지들, 장신구, 집안과 작업실의 가구들은 지극히 일상적인 평온함을 느끼게 하는 소재임에도 불구하고, 그것들로 구성된 화면은  그저 평온하다거나 따뜻하다는 생각을 가지기에는 무언가 불온함이 느껴지는 것이었다.
그 불온함은 그가 누구나 소유하고 있는 소박하고 친밀한 소품들로 구성된 자신만의 일상적 공간을 단순히 드러내는 것에 그치지 않는데서 야기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의 말대로 “극히 사적이고 주관적인 일상의 단면들을 무대 위로 끌어냄으로써 특별하고 의미 있는 공간으로 재탄생시키는” 일로 전위(轉位)됨으로써, 일상적 공간, 혹은 일상적 세계는 진동하고 균열을 일으킨다. 그리하여 결국은 ‘사적이고 일상적인’ 외피 저변에 깔린 삶 또는 세계의 근원적 부조리, 혹은 나와 외계가 맺고 있는 관계의 가벼움, 혹은 불안정성에 대한 진술이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자신의 공간을 슬쩍 드러냄으로써 보는 이를 끌어들이는 통상적인 방식보다는, 적극적으로 의도된 노출을 통해 우리를 그의 사적 공간으로 초대하는 방식으로 세계(외계)와 소통한다. 그리곤, 현실세계에서 그가 희망하는 소통, 혹은 관계란 속성상 유리처럼 깨지기 쉽고 불안정한 것이기에, 그는 화면 속의 그것이 자신의 세계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음으로써, 초대한 자와 초대받은 자, 즉 주객의 관계가 모호한 모두의 무대, 모두의 공간을 만들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에, 자신의 소품과 그것으로 이루어진 공간이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개방적 공간(여행지나 명소, 혹은 익명의 자연공간)과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4차원적 결합으로 조화(?)를 이루고 있는 화면에서, 우리는 사적인 공간(세계)와 공적이고 개방적인 공간(세계)이라는 그 두 세계 사이의 문턱에 마주서있는 그와 우리의 모습을 본다. 아울러 그가 있었음직한  빈자리 옆의 또 다른 빈자리는 다름 아닌 우리의 자리였음을 본다.
그는 화면에서는 간간이 카멜레온을 보게 된다. 어쩌면 카멜레온은 영원히 등에 집을 짊어지고 다니는 달팽이가 부러울지도 모른다.

박정구(스페이스씨 큐레이터)


 
 
윤소정 작품캡션
동행,oil on canvas,72.7x116.7cm,2011
문을 열면  어느새 나는 그 곳에 와 있다,oil on canvas,162.x130.3cm,2010
작업실 속 미술관,oil on canvas,162.0x130.3cm,2010
좋은날,oil on canvas,112x194cm,2011
희정당-그와의 떨리는 조우,oil on canvas,130.3x89.4cm,2011



작가정보


권인숙

개인전
2010  빛에 남다 (Remain In Light), 대전 갤러리 쌍리
2009  작은방, 우울한 일기 그리고 행복한 나의 무대, 서울 갤러리 도올
2008  TWO WALKS IN THE SPACE, 서울 하늘을 나는 코끼리 갤러리
2005  TWO STRANGE PICNIC, 대전 이공갤러리
 
단체전
2010  KIAF(Korea International Art Fair), COEX 1F Hall A&B Seoul
      열린 미술관-대흥동블루스展, 대전창작센터
      첫 번째 계단展, 서울 갤러리 아트스페이스 H
2009  반지하, 시간에 대한 기억展, 대전 갤러리 반지하
      대한민국 선정작가전,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분관
      BEHIND SPACE展, 서울 이엠아트 갤러리
      Happiness in Art展, 대전 롯데화랑
      FRAGILE-Fields of Empathy, Modern Art Museum of St. Etienne(프랑스 생떼띠엔느),
         St. Etienne, Traveling to Palazzo dei Falconieri, Rome(이탈리아 로마),
         Daejon Museum of Art, Korea(한국 대전)
2008  10 NEXT CODE 청년작가지원전, 대전시립미술관
2007  In Water - 숨쉬는 빛깔展 COEX, 서울 갤러리 아쿠아
      Art &Kitchen"展, 청주 신미술관
      ORANGE SKY展, 대전 갤러리 반지하


<작업노트>
이에 대한 회상의 연작들에서, 나는 상자 속의 연출된 세계로 들어간다. 난 많은 아이들이 그렇듯 어린 시절엔 장롱 속이나 책상 밑에 들어가 놀기를 좋아했다. 소꿉놀이를 하던 어린 시절로 돌아가는 듯, 내게 상자 안의 좁은 공간은 최고의 휴식처이자 놀이터이다.
신비스럽거나 몽환적인 분위기를 만드는 데 조명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미니어처 작업에서는 자연 조명을 차단하고 최대한 자체 조명만을 설치해 놓는다. 사적이고 비밀스럽거나 은밀한 장소를 상자 속에 담아 역으로 노출시키는 방법으로 내 주변 공간을 새로운 무대 위에 올린다. 무대 위에서는 정체를 정확히 알 수 없는 모순적인 충동이 나타나는데 작고 안락하며 고독한 곳을 원하는 욕구 뿐 아니라 낯선 여행지나 술집에서의 상호작용을 원하는 욕구도 존재한다.
보헤미안의 샌프란시스코(원제: Writer's San Francisco)란 책에서는 이런 것을 다락방 욕구와 카페 욕구로 표현하고 있다. 글쓴이 에릭 메이슬은 이러한 욕구들이 충돌할 때 나타나는 것은 입체파 그림처럼 논리적이고 응집력 있는 그림이라고 했지만 내가 원하는 것은 논리적이거나 응집력 있는 그림이라기보다는 오히려 그 반대다. 보는 이들을 천진스런 상상 속으로 데리고 가 그 곳에서 이런저런 꿈을 꾸어 볼 수 있었으면 하는 마음이다. 나의 작은 무대는 현실의 모습을 그대로 닮은 환상이다.
또한 먼저 그려진 그림들이 뒤늦게 그려지는 작품 속에 언뜻언뜻 보이면서 시간의 흐름이 드러난다. 어제의 작업이 오늘 그림 속 배경으로 등장하는 것이다. 앙증맞게 드러나는 이전 작업들이 모든 작업에서 연결고리가 되어 끝없이 나타나고 있다. 마치 뫼비우스의 띠처럼…. 시간이 교차하는 그 곳은 그저 바라보는 대상에서 벗어나 생각의 움직임을 유발하는 연극적 공간이다. 그곳이 낯익은 공간이든 낯선 공간이든 작은 무대가 되어 그 곳에서 벌어질 이야기들을 상상하게 한다.
사람이 없는 텅 빈 공간을 응시하다 보면 공간에 대한 상상력과 사고의 움직임이 생긴다. 그 안에서 지금 막 무슨 일이 일어났었고 또 앞으로 무슨 일이 생겨날지 추측해 볼 수도 있다.
형식면에서 나는 한 가지를 고집하지 않는다. 상자 안에 공간을 꾸며 입체감을 보여주기도 하고 평면에 약간의 오브제를 첨가하기도 한다. 나는 여러 가지 형식의 만남을 보여주고 싶다. 다양한 형식의 접목을 통해 보다 새로운 경험을 하고 이러한 경험들을 관객과 함께 나누었으면 한다.



사윤택

서원대학교 미술교육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졸업

개 인 전      
2010  Momentary Play, 경기문화재단 후원, 헤이리 아트팩토리
2009  Momentary play!, 서울문화재단 후원, 서울 UM갤러리
2009  Momentary play!,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후원, 서울 갤러리북, 외 9회

그 룹 전      
2011  유토피아 유감, 서울 아트스페이스 루 개관기획전
       풍경의 해석전-김성묵, 사윤택, 임춘희 3인전, 청원군립대청호미술관
2010  대구아트페어 특별전 , 대구 EXCO
       Art Road77 헤이리 아트팩토리
       Byul Collection Project 8 ‘Mix & Match’, 서울 Space Byul
       Sense of Humor, 대전시립미술관
       Asia Top Gallery Art Fair, Grand Hyatt Hotel, Hong Kong
2009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만남을 찾아서’ 본전시 Ⅲ ‘생활세계 속으로, 청주
       Blue Dot Asia, 서울 예술의전당 미술관
2008  작가의 서가 ‘Portfolio Collection’,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서울 인사미술공간
2007. AFI -창작언어의 복원 Artist 1:1 Critic 프로그램, 스페이스사루비아 공간 주관,
      서울 브레인 팩토리, 외 다수

작가노트
3년여 기간 동안, 순간이라는 짧은 시간에 의한 공간적 층위와 그 속에 엿보이는 주변사회의 제도적 풍경을, 무의식적으로 들추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는 일상 속에서 순간적으로 열린 상황을 포착해 그 시간과 공간의 다양한 층위를 분석하는 작업이, 정지된 이미지인 회화에서 어떻게 가능한지에 대한 인식론적인 분석과 표현방법에 대한 실험이었다.
  최근에는 조금달리 순간이라는 충격에 의해 왜곡되는 상황이 아닌, 이질적 표현방법에 의한 풍경이 마치 한 화면에 조우해 놓은 상황으로 변화되어 갔다. 기존 작업에서는 지극히 일상화된 상황에서 순식간에 변화하게 되는 동인과 함께, 시간과 공간은 예측이 불가능한 과정만이 존재한다.
그러나 최근의 작업은 시간의 여행을 하다, 어느 한 시간과 어느 한 시간이 만나 발생하는 틈 혹은 경계속의 풍경을 유도 해 내고 있다. 이 역시 다양한 시간과 공간의 층위를 우리네 삶의 풍경 속에서 들춰내려는 것이 목적이다.  
그리고 그 짧은 순간 혹은 이질적 시간과 공간의 만남에 의해 들춰진 제도적 풍경 속에서, 스쳐지나가는 수많은 현실과의 재회를 해 보기 위함이랄까?
2011.  1.


윤소연 (YOON, SOYEON)

한남대학교, 동 대학원 회화과 졸업

개인전
2011  비밀의 방, 서울 가나아트스페이스
2008  갤러리 도스 기획 ‘집들이’, 서울 갤러리 도스
       롯데화랑 창작지원 ‘Open House', 서울 롯데화랑/서울 가나아트스페이스
2004  무대 위의 일상, 서울 인사갤러리
2002  일상으로의 초대, 대전 타임월드 갤러리
2000  석사 학위 청구전, 대전 타임월드 갤러리

단체전
  방아 찧는 토끼展, 대전 스페이스씨
  Breathing House Project 'Drawing', 서울 키미아트
  작은 것이 아름답다, 대전 모리스갤러리
  2009⦁청년작가-Next Code展, 대전시립미술관 창작센터
  신세계갤러리 기획 ‘공간 산책’, 서울 신세계 본점 본관 아트월갤러리
  알트 기획 popcon전-그녀들의 일상, 대전 아트센터 알트
  Korea-India Art Exchange Festival 2008, 인도 뉴델리 릴리트칼라 아카데미미술관
  갤러리 고도 기획전 ‘방으로의 초대’, 서울 갤러리 고도
  롯데화랑 개관 7주년 기념전 ‘일상과 미술’, 대전 롯데화랑
  에듀 아트 페스티발 ‘WHO 我 YOU’, 인천종합문화예술관

작가의 약간의 메모
가을 단풍은 어느새 옷장으로 들어와 있다.
런던의 다리도 미술관도 눈으로 익히고 마음으로 새긴 그 공간은 이미 내 집 어느 곳 인가에 놓여져 있다. 이 순간 나는 밖으로 나가고 싶은 충동을 느끼지만 여전히 실내에 머무르고 싶어 한다. 왜 일까?

 
(48927)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길 43 | TEL 051-724-5201 | mail:openspacebae@hanmail.net
Alternative space_ Openspace Bae, 43 Donggwang-gil, Jung-gu, Busan, Korea | Tel. +82-51-724-5201
(c)2006 SPACEBAE. ALL RIGHTS RESERVED.
산복도로1번지프로젝트 | 안雁창窓고庫프로젝트